HDMI 케이블 추천 - 용도에 맞게 구매하기
2023.08.23 15:37
모든 컴퓨터에 HDMI 포트가 있는 것이 아니며, 오래된 컴퓨터의 경우 VGA 혹은 DVI 케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 잔류 전류로 인해서 인식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전원을 종료할 때는 모든 기기의 전원을 제거한 뒤 10분 정도 기다린 다음 전원을 킨 다음 확인하면 됩니다. 만약 문제가 있다면 이물질을 제거한 뒤 장착하면 해결됩니다. 만약 모니터의 문제가 없다면 다른 기기와 연결이 될 것이고 이렇게 되면 처음 연결하고자 했던 기기의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해상도 문제로 연결이 안 된 경우라면 안전모드 접속 시 연결이 될 겁니다. 해결 방법을 하나씩 순서대로 활용해보면 해결이 될 겁니다. 듀얼 모니터를 사용할 때 역시 마찬가지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방법을 알아두면 도움이 될 겁니다. 게임기에는 문제가 없을 수 있지만 컴퓨터라면 본체의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모델에 따라 그래픽 장치 이름이 다를 수 있습니다. 항목을 체크 후 PC를 다시 시작한 후 그래픽 드라이버를 재설치 해보세요. 모니터와 연동되는 램이나 그래픽카드에 이물질이 발생해서 연결이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꼭 램과 그래픽 카드의 상태를 확인해봅니다. 중앙에 꽂은 하얀색 선이 인터넷 케이블연결과 가장우측 전원케이블이 정상적으로 연결이 된다면 위 화면에서 보이는것처럼 초록색 불빛이 뜹니다. ※ 위 방법으로 자가 조치를 해도 동일한 경우 전문 서비스매니저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을 통해서는 전문 서비스매니저의 정확한 진단과 점검을 받을 수 있어요. 쿠팡에서는 대개 1.5m를 많이 팔며 최대 100m까지 원하는 길이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2.0보다는 당연히 2.1이 좋겠습니다만 가격차이도 있고 호환성의 차이도 있습니다. 길이가 너무 길다면 아무래도 짧은 것보다 전송속도가 저하될 수 있고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경제적으로는 확실하게 HDMI 2.0이 저렴하고 모니터의 스펙이 떨어진다면 일정한 수준 밖에 아웃풋을 내지 못하므로 2.1보다 나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모니터의 이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노트북의 HDMI와 모니터의 DVI를 연결하려고 하는데요 노트북 화면이 작아서 24인치 LED U240 무결점 모니터로 게임이나 영화를 보려고 해요. → 케이블 접촉에 문제가 있거나 케이블 내부 선이 끊어진 경우 화면이 제대로 나오지 않습니다. 후 외부 모니터를 연결하여 화면이 나오는지 확인해주세요. 낭패를 당하지 않기 위해서 자신이 살 기기나 있는 기기에 인터페이스를 꼭 확인해주세요. 넥시는 PC/노트북 관련 주변 악세서리를 판매하는 브랜드로 제법 인지도 있는 회사입니다. 아래는 넥시사에서 판매하는 HDMI 케이블 길이별 모델명 표입니다. 대표적으로 케이블 이용 방법을 변경해야 할 수가 있는데 만약 모니터가 INPUT을 hdmi가 아닌 DVI나 DP로 되어 있다면 신호 없음이 나올 수 있습니다. 만약 위의 방법을 모두 사용해봤는데 해결이 안된다면 먼저 안전모드로 접속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서 hdmi 케이블 모니터 신호 없을때 해결 방법을 제대로 알아가시길 바랍니다. 노트북 외부 모니터 연결 단자(HDMI) 내부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해보셨나요? 그렇기 때문에 모니터 INPUT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혹시 저 사진에 있는 HDMI 스위처 제품이 궁금하시면 아래의 글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개인적으로 저 제품도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근데 노트북이랑 저 모니터랑 연결해도 문제없겠죠? HDMI 미니와 미니디스플레이 케이블의 경우, HDMI 미니 혹은 미니디스플레이 연결 잭을 컴퓨터에 꽂아주고, 반대 편의 일반 HDMI 케이블 연결 잭을 TV에 연결한다. C타입인 미니 HDMI는 태블릿, 작은 노트북, 디지털 카메라 등 소형기기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HDMI는 위 화면에 보이듯 단자가 큰 케이블입니다. DVI 포트는 판의 구성에 따라 위 그림처럼 구분입니다. HDMI 케이블위 위 셋톱박스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뒤쪽 기가 지니라고 써져있는게 셋톱박스인데요 이 셋톱박스에 단자가 가장 큰곳에 연결하시면 됩니다. 앞서 2개의 포스팅을 통해 해결했는데요 이번 편은 셋톱박스에 문제가 있을경우입니다. 하지만 모니터가 연결되지 않는다면 모니터의 내부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 재료도 EMI라고 Electromagnetic Interface 차폐재로 사용하는 것이 간섭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케이블 길이가 길다면 두꺼운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역시 길이가 짧아서 선 정리에도 용이해서 좋습니다. 그 제품과 TV를 HDMI 케이블로 연결해 놓은 상태인데 케이블 길이가 너무 긴 나머지 뭔가 밸런스가 맞지 않는 느낌입니다. HDMI 케이블을 분리 후 재연결 또는 다른 케이블로 교체해보셨나요? TV와 외부기기를 HDMI 케이블로 연결 시 정품 케이블 사용을 권장합니다. ※ 콤포넌트 케이블 연결보다 HDMI 케이블 연결 시 화질이 좋으며 연결이 쉬운 HDMI 케이블 사용을 권장합니다. 케이블 연결이 잘되었는지 확인을 하셔야합니다.
화면은 안나오고 티비에서 소음만 날때 외부입력과 케이블 확인 하셔야합니다. 티비를 켰을때 시끄러운 소리만 나고 화면은 안나올때 해결하는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티비가 안나올때 해결하는 방법 마지막편입니다. 앞서 티비가 안나올때 올레티비와 LG티비(엘지티비)를 사용하는 고객 여러분들위한 1편을 포스팅하였습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1080p 해상도에는 최소 4.9Gbps의 대역폭이 필요합니다. UHD를 지원하는 4K의 경우 10.2Gbps 이상의 대역폭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그래도 해결이 안 되면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자신이 이용하고 싶을 때 모니터가 연결 안 되면 답답한 마음이 어마어마할 겁니다. 현재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을 제거하고 컴퓨터나 게임기 등의 전원을 종료한 뒤 hdmi 케이블을 연결해준 뒤 전원을 켜는 겁니다. → 노트북 전원을 종료 후 부드러운 칫솔에 소량의 알코올을 묻혀 내부 단자를 청소해보세요. TV와 외부기기 전원을 끈(OFF) 후 TV 뒷면 HDMI 케이블을 분리 후 재연결해주세요. 지금 제가 들고 있는 선은 TV에 전원을 공급하는 선입니다. 일반 HDMI 포트가 있는 PC도 있으며, HDMI 미니 혹은 미니 디스플레이 포트가 있는 PC 도 있다.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모델명의 HD안에 있는 끝 숫자가 곧 케이블의 길이를 암시합니다. 케이블의 무게 때문에 단자에 무리가 가지 않을지에 대해서도 조금 걱정이 들었구요. HDMI 케이블의 규격은 끊임없이 발전해왔습니다. 현재 2023년에 와서는 제일 많이 쓰는 규격은 HDMI 2.0 과 HDMI 2.1 입니다. HDMI 2.1 이상을 구매하면, 8K @120Hz ,비디오 대역폭 48Gps까지 지원됩니다. HDMI 2.0 이상을 구매하면,1080p @240Hz ,비디오 대역폭 18Gps까지 지원됩니다. HDMI 2.0 버전임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천원도 안 합니다.